본문 바로가기

2. 세상은, The World/행복한 경영이야기, HappyCEO

(634)
우리는 좀 더 열심히 들어야 한다 우리는 좀 더 열심히 들어야 한다 ‘우리는 상대가 한 말의 절반만 듣고, 그 절반만 귀담아 들으며, 그 절반만 이해하고, 그 절반만 믿으며, 또 그 절반만 기억한다. 이를 하루 8시간의 일에 적용해보면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우리가 하루 일과의 절반, 약 4시간을 듣는 데 보낸다면, 우리는 2시간 가량 남의 말을 듣는다. 실제로 귀담아 듣는 시간은 1시간 남짓하다. 우리는 30분 분량의 말만 이해하고 15분 분량의 말만 믿는다. 우리 기억에 남는 말은 8분 분량에도 미치지 못한다. 점수로 따지면, 아주 형편없는 성적이다. 결국, 우리가 적극적으로 듣는 데 한층 힘써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존 맥스웰, '리더십 골드'에서 인용했습니다. “나는 매일 아침, ‘오늘 내가 하는 말은 내게 아무것도 가..
실수한 후에야 제대로 배울 수 있다 실수한 후에야 제대로 배울 수 있다 사람들은 실패를 두려워한다. 이는 매우 당연한 반응이지만 또한 매우 이상한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무언가를 성공시키는 방법을 배우려면 실수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악기를 배워 연주하게 되는 과정을 생각해보라. 아기가 걷는 방법을 알아내는 과정을 지켜보라. 어린아이가 말을 어떻게 배우는지 보라. 걷기, 말하기, 음악 연주 같은 기술들은 (종종 아주 웃긴) 무수한 실수들을 거쳐 서서히 점차적으로 완성된다. - 리차드 브랜슨, ‘비지니스 발가벗기기’에서 http://www.happyceo.co.kr
열정과 충성심을 이끌어 내는 법 열정과 충성심을 이끌어 내는 법 사람의 시간은 돈을 주고 살 수 있다. 돈을 주면 주어진 장소에 사람을 배치할 수도 있다. 시간당 임금을 주고 숙련된 근육노동을 살 수도 있다. 그러나 열정을 살 수는 없다. 충성심도 살 수 없다. 헌신적인 마음과 정신과 영혼은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다. 그런 열정과 충성심은 얻어야만 하는 것이다. - 클라렌스 프랜시스, 제너릴 푸즈 CEO http://www.happyceo.co.kr
재능은 10배, 집중은 1000배의 차이를 만든다 재능은 10배, 집중은 1000배의 차이를 만든다 누구에게나 같은 양의 에너지가 잠재되어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보통 여러 가지 하찮은 일에 정력을 소비하고 만다. 나는 단 한 가지 일, 즉 그림에만 내 에너지를 소비할 뿐이다. 그림을 위해 다른 모든 것은 희생될 것이며, 거기에는 모든 사람들, 그리고 물론 나 자신까지 포함된다. - 피카소 http://www.happyceo.co.kr
마음을 훔치는 리더 마음을 훔치는 리더 타고난 재능, 지식, 많은 학식, 이런 것들은 성공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대신, 남이 원하는 것을 포착하는 감각과 그것을 주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원하는 것을 찾아 최선을 다해 그것을 충족시켜준다면 그러한 배려를 고맙게 생각하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 루터 (Martin Luther) http://www.happyceo.co.kr
일을 즐기면 돈은 따라온다 일을 즐기면 돈은 따라온다 '1960년부터 1980년까지 MBA 졸업생 1,500명을 추적한 연구 보고서가 있다. 처음부터 졸업생들은 두 범주로 나뉘었다. 범주 A에 속한 사람들은 먼저 돈을 벌고, 즉, 돈 걱정을 해결한 후에 그들이 정말로 하고 싶은 일을 하겠다고 대답했다. 반면에 범주 B에 속한 사람들은 처음부터 관심 있는 일을 하다 보면 돈은 자연스레 따라올 거라고 대답했다. 1,500명 중에 범주 A에 속한 사람이 83퍼센트로 1,245명이었다. 범주 B에 속한 사람은 17퍼센트로 255명에 불과했다. 20년 후, 그들 중에 101명이 백만장자가 되었다. 그런데 범주 A에 속한 사람은 1명에 불과했고, 나머지 100명은 모두 범주 B에 속한 사람들이었다.' ‘Making a Life, Making..
큰 일은 이해득실을 배제하고 의사결정하라 큰 일은 이해득실을 배제하고 의사결정하라 작고 사소한 일은 ‘이익’이라는 기준으로 옳고 그름을 가르면 된다. 하지만 중요한 일은 단순한 이해득실로 의사결정을 내려서는 안 된다. 크고 중요한 일은 이해관계를 떠나 ‘무엇이 올바른가?’ 라는 기준으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 기준에 따라서 극단적으로 말해 회사가 망해도 괜찮고, 개인이 죽어도 괜찮다. 그만큼 올바른 일을 하는 것이 큰일이라고 생각한다. - 마스시타 고노스케 http://www.happyceo.co.kr
세계 제 1의 부자가 된 비결 세계 제 1의 부자가 된 비결 “세계 제1의 갑부가 된 비결은 무엇입니까?” 어느 날 기자가 빌 게이츠에게 물었다. 그의 대답은 간단하고 명료했다. “저는 날마다 스스로에게 두 가지 최면을 겁니다. 하나는 ‘오늘은 왠지 큰 행운이 나에게 있을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는 ‘나는 뭐든지 할 수 있어’라고 상상합니다.” 진희정 저, ‘운명을 바꾸는 작은 습관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http://www.happyceo.co.kr